연합뉴스
코로나 사태로 경제마저 침체된 가운데 유일하게 상승세를 맞이한 곳이 있다.
뉴스1
바로 명품 브랜드들이다. 특히 겨울나기 준비를 위한 소비자들의 패딩 구매량이 눈에 띄게 증가하면서 브랜드들의 매출액이 증가했다.
연합뉴스
지난 6일 온라인 명품커머스 '머스트잇'은 지난달 1일부터 20일까지 10~50대 여성 고객들의 판매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명품 패딩 소비가 두드러진 것을 알 수 있었다. 올겨울이 지난해보다 더 춥고 기온 변동이 클 것이라고 예상되면서 구매율이 증가한 것이다.
연합뉴스
이들의 패딩 구매 비용은 지난해 동기 대비 89% 뛰어오른 평균 113만 원으로 확인됐다.
소비 계층은 20대가 120만 원으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했다. 20대의 경우 최근 백화점 명품 소비의 '큰손'으로 떠오르면서 오프라인은 물론 온라인까지 영향력을 끼치고 있다.
뉴스1
2위는 116만 원을 지출한 30대였다. 40~50대는 105만 원으로 조사됐으며 10대도 패딩을 구매하는 데 평균 102만 원을 지출한 것으로 밝혀졌다. 많이 지출할 때는 200~300만 원 이상 지출하기도 했다.
몽클레르 홈페이지
가장 많이 팔린 명품 패딩은 프랑스 브랜드의 '몽클레르'였다. 그 중에서도 100~200만 원대 숏패딩인 '란스', '클레온' 라인이 주로 판매됐다.
몽클레르의 경우 인기가 많은 제품은 재고를 구하기 어려워 최대 몇 달까지 기다려야 한다고 한다.
300만 원대 롱패딩 '클로에' 라인은 강남 백화점에서도 구하기 어려울 정도라고 한다.
버버리 홈페이지
몽클레르 다음으로는 캐나다 브랜드 '무스너클'과 영국 '버버리' 패딩이 판매율이 높았다.
코로나로 인한 경제 불황 속에서 소비자들의 지갑은 명품이라는 뜻밖의 곳에서 더 열리게 되었다.
일각에서는 코로나로 인한 '플렉스 소비'가 오히려 늘고 있다는 분석 결과를 내놓았다.
한국방송광고진흥공사에 따르면 올해 소비 트렌드는 스트레스 해소 및 자기만족 관점에서의 플렉스 소비인 것으로 밝혀졌다.
이러한 소비는 젊은 세대일수록, 또한 남성보다 여성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저작권자 ⓒ커플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일찍 울린 수능 종에 시험지 가져가버린 '감독관'.. 덕분에 딸은 수능을 망쳤습니다" (0) | 2020.12.08 |
---|---|
'고아원'으로 둔갑한 '아기공장' 여성들 납치해 강제로 '임신'시켜.. (사진) (0) | 2020.12.08 |
"여전히 클럽은 북적북적" 확진자 이태원 클럽 '5곳' 다녀갔다 (0) | 2020.12.08 |
[속보] 서울시 "오후 9시 이후 대중교통 감축 운행" 사회적 거리두기 강화 (0) | 2020.12.07 |
모르는 노래 찾고 싶을 때 흥얼거리기만 해도 제목 알려주는 '구글의 검색 기능' 나왔다 (0) | 2020.12.07 |
댓글